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영화의 상호텍스트성
    카테고리 없음 2023. 11. 30. 00:30

    상호텍스트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영화에서의 텍스트 간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호텍스트성

    연관이 있는 둘 이상의 텍스트 간의 관계를 의미하며 서로 인용하거나 참조하는 방식을 일컫습니다.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는 텍스트의 의미는 다른 텍스트와의 관계 속에서 결정된다고 말하였습니다.

    영화 <약속>

    담배를 손에 쥐고 있는 남자주인공의 <약속> 포스터는 수용자가 이 포스터를 읽을 때 어떤 텍스트와 연결시키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영화를 본 사람들은 '자상함', '헌신적임', '애절함', '슬픔' 등을 연상하며 포스터를 해석하지만, 영화를 보지 않은 사람들은 '강인함', '남성적임'의 이미지를 떠올리며 조폭영화를 연상하거나 금연광고와 연관시켜 '담배를 금연하겠다는 약속'을 떠올리기도 합니다.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롤랑 바르트는 상호텍스트성에서 수용자의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을 통해 우리는 생산자와 텍스트, 수용자라는 세 요소와의 관계와 이를 발전시켜 서로 다른 텍스트들이 담고 있는 내용과 형식을 주고받으면서 서로 간의 경계를 허물고 보다 큰 제3의 텍스트를 형성해 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리메이크와 소설의 영화화

    영화에서 상호텍스트성의 가장 두드러진 사례이며 기존 작품의 리메이크나 소설의 영화화는 원작을 바탕으로 새로운 경험, 주제의식 등을 추가하여 원작의 의미 이외에 또 다른 의미를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기존의 텍스트와의 연관성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다양한 방식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리메이크와 소설의 영화화는 결국 원본과 모사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으며, 크게 세 가지 방식이 사용됩니다.

    1) 충실한 각색

    원작을 있는 그대로 옮기려는 시도

    2) 다원적 각색

    원작의 전체적인 틀과 기본만은 받아들이며 새로운 작품을 창조하려는 시도

    3) 변형적 각색

    원작을 충실히 이용하며 주요한 요소를 첨가, 대체, 삭제함으로써 새로운 내용과 주제의식을 표현하려는 시도

     

    위의 내용을 통해 영화의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특정한 텍스트가 다른 텍스트로 전이되거나 변형 혹은 재창조되는 과정에서 텍스트와 텍스트 간의 '관계' 그 자체가 우선적으로 주목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