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영화의 구성 요소 (생산자,텍스트,수용자)
    카테고리 없음 2023. 11. 28. 00:30

    영화는 생산자(제작자), 관객(텍스트), 수용자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요소들 중에서 어디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영화라는 매체를 이해하는 방식이 달라질 것입니다. 어느 한 가지만 중요한 게 아니므로 세 가지 측면을 종합하여 고려해 영화를 이해하여 추구해야 합니다. 

     

    1. 생산의 측면

    산업적 혹은 경제적인 구조에 주안점을 두고 영화라는 문화적인 산물을 이해하는 태도이며 아도르노(Adorno)나 호르크하이머(Horkheimer)와 같은 프랑크푸르트 학파와의 입장과도 일맥상통합니다.

    프랑크푸르트 학파(Frankfurt School)

    대중문화의 영역이 경제적인 논리에 의해 지배되면서 규격화되고 표준화된 문화적인 산물만을 생산한다고 비판하였습니다. 학자들은 대중문화가 사람들에게  현실 비판적인 태도나 더 나은 사회를 꿈꾸게 하는 것보다, 체제에 순응하며 수동적인 태도를 갖게 함으로써 기존 질서를 보수적으로 유지한다고 보았습니다.

     

    2. 텍스트의 측면

    프랑스 구조주의

    프랑스의 구조주의적 전통에서 텍스트 자체를 영화 이해의 대상으로 삼는 태도를 볼 수 있습니다. 구조주의자들은 특정한 문화적 산물의 생산 혹은 소비 방식보다 어떤 작품이 담고 있는 내용과 형식을 분석하는 데 심혈을 기울입니다. 그들은 한 텍스트 안에 구조화되고 심화된 의미를 발견하면서 한 작품과 그 작품을 낳은 문화에 대해 한층 깊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3. 수용의 측면

    영화와 대중문화에 접근하는 태도는 영국의 기반을 둔 문화주의적 접근이 대표적입니다.

    영국의 문화연구자

    리처드 호가트(Richard Hoggart), 스튜어트 홀(Stuart Hall), 레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rms), 데이비드 몰리(David Morley) 등의 문화연구자들은 문화적 산물이 담고 있는 의미뿐만 아니라, 그것이 사람들에 의해 수용하는 방식에도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실제 수용자들이 문화 생산물의 수용 과정에서 갖는 다양한 의미들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사회적 조건과 수용 과정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었는데 이는 구체적인 역사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수용자들이 특정 텍스트에 어떻게 이용하고 해석하는가에 주목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영화의 생산자, 텍스트, 수용자의 측면에서 영화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세 가지 모두의 측면을 고려하여 영화를 이해하는 것이 보다 중요할 수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Designed by Tistory.